장난감 자동차 해킹
아무리 생각해도 스위치를 박수로 제어하기에는 실내 소음을 아두이노가 걸러낼 수 있는 능력이 되지 않고 적외선 센서로 하기에는 지금의 리모콘의 파장이 너무 짧은 듯하다. 차라리 기계적 요소를 써서 장난감 자동차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. 그 우선이 되어야 하는 것이 장난감 자동차를 해킹하여 내가 원하는 대로 사용하는 것이다. 방법은 이 영상을 참고로 하기로 했다만 이래저래 난관이 있었다. 우선 내가 산 칠천원짜리 자동차의 메인보드에는 그라운드가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. 도대체 어디를 어떻게 연결해야 제어가 되는지 알 수가 없었다. 그래도 꾸역꾸역 이곳저곳 대어 보다가 신호가 닿는 부분들을 찾아내었다. 다음 영상과 같다. 소리가 작아 잘 들리지는 않지만 차체에서 불빛이 깜빡이는 순간들이 뒷바퀴의 회전 시그널에 연결된 때이다. 이제 각 부분들을 점퍼로 연장하여 아두이노로 연결한 후에 아두이노로 제어하면 미션은 끝나는 셈이었다. 예상외로 순조로운 전개에 기분이 좋았다. 하지만 역시 하루가 지나자 마자 망했다. 맨 위의 설명영상에서 나오듯이 전원을 직접 연결하여 자동차 메인보드에 신호를 주는 것을 실험하려고 했는데, 어찌된 영문인지 보드가 타버렸다. 외부 전원이 5V인 것을 본체 전원이 4.5V니까 똑같겠지 하고 그냥 연결한 것이다. 시그널로 몇 볼트가 필요한 것인지도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연결했더니 타버린 듯하다. 위의 영상은 보드가 탄 후 전원이 들어오기만 하면 질주하려고 하는 자동차의 모습이다. 그래서 결국은 자동차를 해체하기로 했다. 비싸게 산 것도 아니니까 부품들만 활용하는 셈 쳐야 한다. 모터들과 본체를 7천원에 샀으면 뭐 그래도 잘 샀다 (사실 아니다). 라디오 컨트롤러까지 해킹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아직 그 단계는 아니다. 위의 영상은 자동차 내부의 모터를 빼낸 사진이다. 영상을 보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. 대체 뭐가 문제일까...
댓글
댓글 쓰기